THE YOOJUNG TIMES

yoojungtimes.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칸트 철학의 오성(悟性)에 대하여

칸트의 오성 悟性 및 선험론 [a priori]

2022-05-05

[상식]

칸트 철학의 오성(悟性)에 대하여

-칸트의 오성 悟性 및 선험론 [a priori]

[유정신보] 편집부

일반적으로 오성(五性)은 고려대 한국어 사전의 풀이에 의하면,
첫째가, (기본의미) 사람의 다섯 가지 성정(性情). 곧 기쁨(喜), 노여움(怒), 욕심(慾), 두려움(懼), 근심(愁)을 이른다.
둘째, [불교] 중생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다는 보살정성(菩薩定性), 연각정성(緣覺定性), 성문정성(聲聞定性), 삼승부정성(三乘不定性), 무성유정(無性有情)의 다섯 가지 성품으로 정의 합니다.

-이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의 오성 悟性 및 선험론 [a priori]

그리고 철학책에서 가끔 등장하는 *오성은 [悟性]칸트 철학에서 나온 개념어로,
“감성 및 이성과 구분되는 지력(知力)”…
칸트 철학에서는 다른 두 능력에 대비하여 대상을 구성하는 개념 작용의 능력을 뜻한다.”로 사전은 풀이를 했는데요….

사실, 한국어 번역어(칸트의)오성 悟性 은 칸트를 전공한 번역가들이 일본어 초기 번역본을 참고 하면서 한국어로 다시 이를 번역한 셈이어서 번역한 분들 조차도 좀 어중간한 입장임을 서문에 밝힌바 있습니다.

칸트 철학에서는 감성 및 이성 다른 두 능력에 대비하여 대상을 구성하는 <개념 작용의 능력인 지력>을 오성으로 정의 했습니다. 이는 칸트 철학의 ‘선험론’에서부터 나옵니다. 선험적 [先驗的] 이란 뜻 입니다. 즉 경험하기 이전에 인간이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어, 대상을 인식하는 근거가 되는 의미 입니다.

칸트 철학어로, “아 프리오리” [a priori]…[철학] 경험하기 이전에 인간이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어, 대상을 인식하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정의.

일부 철학자는 윤리나 도덕은 경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용법으로…“오성으로부터 개념이 생겨난다.”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미국 LA, 세월호 참사 10주기 추모집회 열려
우리학교와 함께하는 동포모임-구량옥 변호사 초청 강연
세월호 참사 10주기 LA 추모제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