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YOOJUNG TIMES

yoojungtimes.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전쟁 (War)의 의미

전쟁->작전->전술과 전략

전쟁 (War)의 의미
 
1. 전쟁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주권국가를 포함한 정치집단간에 일어나는 일정규모 이상의 집단적 무장투쟁이다." 전쟁의 주체는 주권국가이다. 주권국가가 포함되지 않은 집단 간의 무장투쟁은 전쟁이 아니다. 전쟁은 보통 주권국가간에 일어나지만 어느 일방이 주권국가의 지위를 인정받지 못한 집단일지라도 다른 일방이 주권국가이면 전쟁이 된다. 전쟁은 집단적 무장투쟁이다. 집단전체가 다른 집단 전체를 상대로 하는 투쟁이다. 상호비방 등 외교전, 선전전 등은 전쟁이 아니다. 국가가 통수권을 가지는 무장집단을 군대라 하므로 전쟁은 곧 군대간의 투쟁이라 할 수 있다.
 
 
2. 국가나 민족간의 무력충돌이며, 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게 문제가 되는 이슈의 해결책을 강요하는 실력행사이다. 집단이 갈등해결을 위한 시도를 평화롭게 조정하지 못할 때 일어난다. 이러한 실패는 유용한 대안의 절차가 부적절하거나 무너질 때, 또는 집단간의 정치적 관계가 다른 방법들을 배제하는 데 기인한다. 학자들은 왜 사람들이 자신의 이해관계를 위하여 폭력에 호소하는가를 설명해 주는 몇 가지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1) 공격적 본능: 생물학적 진화론의 연구에서 공격본능의 이론이 출현하였다. 사회진화론의 태동기에 광범위하게 지지된 이 사상은 식민지권력의 군사적 우월성이 자연도태로 연결된다. 안드레이(Robert Andrey), 로렌쯔(Konard Lorenz), 모르스(Desmond Morris)의 대중적인 동물학은 최근에 공격본능의 이론을 재 복구하였다. 전쟁에 대한 생물학적 견해는 개인가 집단행위에서 나타난 문화적으로 계획되어 있는 인간의 공격적 행위를 정신적, 육체적 잠재력으로 보고 있다.
 
(2) 균형의 보존: 맬더스(T. Malthus)의 전통에서 문화생태학자들은 전쟁이 인간과 유용한 자원간의 균형을 지키는 기능을 한다고 전제하고 있다. 비록 영토의 정복이 전쟁의 목표라고 할지라도 경쟁집단 간의 토지 재분배를 위한 폭력사용은 이들의 정치적 관계의 성격에서 찾아져야 한다. 인류학자들은 토지가 풍부하지만 전쟁을 막을 수 있는 정치제도가 결여되어 있는 농경사회의 싸움을 예시하고 있다.
긴장의 완화: 일반적으로 전쟁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은 달라드(J. Dollard) 등이 발전시킨 좌적-공격이론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러한 인간행동의 압력-처리의 개념은 전쟁을 사회에서 형성된 긴장의 완화를 위한 기제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의 근본적인 결함은 전쟁의 발발에 대한 원인과 심리적 결과(개인의 호전적인 카타르시스)를 혼돈 한다는 데 있다.
 
(3) 정치통합의 부족: 전쟁에 대한 사회구조적 분석이 많이 해명되고 있다. 광범위한 비교문화연구는 지역사회와 개인의 혈연집단에 대한 여러 경쟁적인 동맹이 무장폭력의 발발을 억제하는 사회구조를 형성하였다고 본다.
한편 광범위한 정치적 통제의 제도가 결여된 사회는 지역화 되고 부계를 통해 연계되는 친족집단들의 존재는 전쟁의 높은 발생률과 관계가 있다. 보다 넓은 관점에서 자율적인 분파들로 지역사회가 정치적으로 분열하는 것은 분파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공식제도의 내생적인 발전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국제적인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부족적인 수준에서도 분쟁의 평화적인 해결은 정파의 정치적 통합수준에 달려 있다는 사실이 나타나고 있다.
 
(4) 전쟁이란 서로 다른 정치집단이나 주권국가간의 정치적 갈등을 각기 상당한 규모의 군대를 동원하여 해결하려는 극한적인 군사적 대결을 지칭하는 것이다.
 
 
참고).

Carl von Clausewitz [On War] 칼 본 클라우제비츠 "전쟁론"의 기본개념
 
 전쟁 On War
-작전 Conduct of War :
 
1. 전술- (tactic) 전투를 기획하고 과정과 결과를 예상하여 군과 무기를 정렬 적소에 군사와 무기를 배치하고 공격과 방어를 동시에 실행하는 과정

2. 전략- (strategy) 다양한 크고 작은 전투들의 연속적 진행 과정을 최종 승리를 위해 실과 득을 따져서 공격 개입과 방어 그리고 후퇴의 결정의 시기를 정하고(timing) 전투를 총합적으로 관리 하는 행위체계

따라서 클라우제비츠의 관점에서 전술가는 특정 전투 전문분야에 전문인이라고 볼 수 있고 전략가는 전체적으로 전쟁에 대한 지식과 사고가 넓고 균형 잡힌 통합적 시각의 소유자라고 볼 수 있음으로 정의.

출처: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미국 LA, 세월호 참사 10주기 추모집회 열려
우리학교와 함께하는 동포모임-구량옥 변호사 초청 강연
세월호 참사 10주기 LA 추모제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