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YOOJUNG TIMES

yoojungtimes.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트럼프 행정부에 발신, 코리아평화서한…40개 미국시민단체 연명

Letter Sent to the Trump Administration Regarding Korea Peace Priorities

2025-02-03

트럼프 행정부에 발신, 코리아평화서한…40개 미국시민단체 연명

-북한과의 관계 개선, 한국전쟁 종식, 핵위험 감소에 초점을 맞춘 외교적 평화 우선 접근 방식을 추구할 것

평화협정과 외교를 촉구하는 40개 미국시민단체 연명(連名)



트럼프 행정부의 재집권에 즈음하여 미국의 시민단체들이  “북한과의 관계 개선, 한국전쟁 종식, 핵위험 감소에 초점을 맞춘 외교적 평화 우선 접근 방식을 추구할 것을 촉구” 하는 서한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송부된 편지는  “참여, 신뢰 구축, 평화 구축, 화해 및 대화를 통해 한반도에 정의로운 평화를 확립하기 위해 긴급한 관심을 기울이기를 바란다” 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북한 땅을 밟은 첫 미국 대통령으로서  트럼프의 “첫 임기 당시 이룬 진전을 계속 이어 가기를 바란다”며 “핵 위험을 줄이는 방식으로 평화를 우선시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추구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있다고 믿는다”고 제안했다.

40개 미국시민단체들은 미 의회에서 북한과의 평화 기반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118대 의회에서 국무부가 평화협정을 향한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도록 요구하는 한반도 평화법안(H.R. 1369)은 기록적인 53명의 연방 하원의원이 공동 지지하였다.

그러나, 2024년으로 118대 의회 회기가 끝나면서 이 법안도 폐기되었고, 2025년 2월에 브래드 셔먼(Brad Sherman, D-CA-32) 의원에 의해 재발의될 예정이다.  이 서한에 연명한 40개 단체들은 평화협정을 통한 코리아 전쟁의 종식, 점진적이고 상호적이며 검증 가능한 평화 절차, 신뢰를 구축하고 긴장을 완화하여 관계를 정상화할 것을 촉구했다.


서면의 내용:

·       지속적인 전쟁상태는 군국주의와 전쟁 긴장의 근본 원인이며, 전시현상유지를 종식시키는 평화협정은 긴장을 완화하고 인권개선과 비핵화와 같은 중요한 문제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참여를 촉진할 것
·        미국이 제재완화, 안보보장 또는 기타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전에 북한이 일방적으로 무장해제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으며, ‘전부 아니면 아무것도 없음(all or nothing)’  접근 방식을 피해야 함
·        2018년 싱가포르 공동 선언을 포함하여 과거 공약을 재확인하여 평화적 공존과 한반도 비핵화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관계를 건설적으로 촉구하길 제안
·       미국 여권 소지자가 북한에 입국하는 것을 막는 여행 금지를 해제하여 인적 교류, 이산가족 상봉, 인도주의 단체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것을 촉구
·       미국군인 유해송환 및 인적교류와 같은 인도주의 활동 및 접근에 대한 제재면제 확대, 취약한 개인에게 피해를 주는 부문별 제재 해제 촉구
·       연구에 따르면 합동 군사 훈련은 북한의 억제 보다 오히려 보복적 도발적 수사와 행동의 순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대규모 실탄군사훈련 중단
·       외교 회담 추진을 지원하고 미군 유해 송환과 코리안 아메리칸 이산가족 상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상호 연락 사무소 설립  
·       추가 미사일방어 배치, 대화와 신뢰 구축을 방해하는 제재 제정, 적대적인 수사 사용 또는 지도자 간 교류 거부와 같이 외교를 제한하거나 복잡하게 만드는 행동을 삼가

대다수 미국인들은 코리아 전쟁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식되었지만, 평화 협정으로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식된 적은 없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이 서한을 작성하고 제안한 코리아피스네트워크 (Korea Peace Network) 멤버 들은 이 서한을 통해 일반 대중에게 미국이 북한과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는 점을 알리고 의회에 평화협정을 촉구하는 유권자 활동에 대한 참여도 도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리아피스네트워크는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미국친우봉사회), Mennonite Central Committee(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 United Methodist Church General Board of Church & Society(연합감리교회 교회와 사회위원회), Women Cross DMZ(위민 크로스 디엠지) 외 50개 넘는 단체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올해로 10년째 미 의회를 대상으로 유권자 로비를 진행하고 있다.  이 단체들은 북한과의 평화협정은 “한반도 뿐만 아니라 전지역에 더 큰 평화와 안보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정부가 출범한지 두 주만에 서한을 보내는 시기적 의미는 올해가 한반도가 80년 분단을 맞는 해이며, 2018년 최초로 북한과 정상회담을 개최한 트럼프 정부에 시민사회의 압력과 정상회담 재가동에 대한 희망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 서한은 미국 대통령 Donald J. Trump (도널드 J. 트럼프), National Security Advisor Mike Waltz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월츠),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or Alex Wong (국가안보위 북한담당 차관 알렉스 웡), Secretary of State Marco Rubio (국무장관 마코 루비오)에게 이메일로 발송되었다. 

*

Letter Sent to the Trump Administration Regarding Korea Peace Priorities

January 30, 2025 

The Honorable Donald Trump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The White House
1600 Pennsylvania Avenue, NW
Washington, DC 20500

Dear President Trump,
The undersigned coalition of national organizations write to urge you as you take office to pursue a diplomatic, peace-first approach with North Korea focused on improving relations, ending the Korean War, and reducing nuclear risk. As groups working together to establish a jus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engagement, trustbuilding, peacebuilding, reconciliation, and dialogue, we hope you will dedicate urgent attention to this critical issue.

We encourage you to continue on the progress you made in your first administration toward improving relations with North Korea. Years of multiple administrations’ policies have not only failed to meet their stated goal of denuclearization, but have resulted in worsening tensions and an increased threat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e believe your administration has a unique opportunity to pursue a new approach that prioritizes peace in ways that would meaningfully advance US-North Korean relations and reduce nuclear risk where decades of pressure have failed.
In fact, there are growing voices in Congress tha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peace-based approach with North Korea. In the 118th Congress,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ct (H.R. 1369), which calls for the State Department to outline a clear roadmap to peace, garnered a record 53 cosponsors on both sides of the aisle. 

We strongly urge you to focus on the hard work of sustained diplomacy with North Korea and commit to the following principles:

End the Korean War. Even though active hostiliti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ended in 1953 with an Armistice Agreement, there was never a formal end to the war with a peace agreement. This continued state of war is the root cause of militarism and tensions that must be resolved if there is to be real progress with North Korea. A peace agreement that ends the wartime status quo would reduce tensions and foster more effective engagement on critical issues such as improved human rights and denuclearization. Formally ending the Korean War is the foundational trust-building mechanism in achieving a durable peace and would remove North Korea’s stated justification for nuclear weapons.
Agree to a gradual, reciprocal, verifiable process. The United States cannot realistically expect North Korea to unilaterally disarm before providing any sanctions relief, security guarantees, or other incentives. We urge you to reject calls to pursue a maximalist “all or nothing” approach and instead focus on actions that can move us towards advancing peace and denuclearization.

Normalize relations by building confidence and reducing tensions. There are many steps that the administration can take to shore up the potential for a successful diplomatic process. These step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Reaffirming past commitments, including those most recently made in the 2018 Singapore Joint Declaration, which constructively called for new relations based on peaceful coexistence and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Lifting the travel ban, which prevents US passport holders from entering North Korea, to facilitate people-to-people exchanges, reunions of divided families, and access for humanitarian organizations
* Expanding sanctions exemptions for humanitarian activities and access, such as the repatriation of the remains of US service members and people-to-people exchanges, as well as lifting sectoral sanctions that harm vulnerable individuals
* Suspending large-scale and live-fire military exercises, as research shows that joint military exercises do not deter North Korea but rather provoke a cycle of tit-for-tat provocative rhetoric and actions
* Establishing reciprocal liaison offices to aid in the pursuit of diplomatic talks and facilitate retrieval of U.S. Korean War servicemen’s remains and Korean-American family reunions
* Refraining from actions that constrict or complicate diplomacy, such as deploying additional missile defenses, enacting sanctions that impede talks and confidence building, employing hostile rhetoric, or rejecting leader-to-leader engagement

We urge you to take steps now to help formally end the Korean War with a peace agreement, which would lead to greater peace and security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hole region. Thank you for your consideration, and we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Sincerely,
Action One Korea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Blasian March 
Catholic Workers
Coalition of Koreans in America
Church of the Brethren, Office of Peacebuilding and Policy
Dorothy Day House, Washington, DC
Good Friends USA 
JTS America 
Kings Bay Plowshares
Korea Peace Now Grassroots Network
Korean American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Inc. 
Korean American Peace Fund
Korean American Support Association for Prisoners of Conscience
Legacies of War
Maryknoll Office for Global Concerns
Massachusetts Peace Action
Mennonite Central Committee U.S.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Americans
NC Alliance for Truth and Hope
Nevada Coalition of Empowered Korean Americans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Peace Action
Peace Catalyst International
Peace Treaty Now 
Ploughshares
Presbyterian Church (USA), Office of Public Witness
Quincy Institute
RootsAction.org 
Seattle Evergreen Coalition
The New England Korea Peace Campaign
The Friends Committee on National Legislation
The United Methodist Church — General Board of Church and Society
The United Methodist Church — General Board of Global Ministries
The United Methodist Church — General Board of Higher Education and Ministry
West Virginia Campaign to Ban Landmines and Cluster Bombs
Women Cross DMZ
Washington Butterfly for Hope
Win Without War
World BEYOND War
CC: National Security Advisor Mike Waltz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or Alex Wong
Secretary of State Marco Rubio

*

서한의 전문은 Women Cross DMZ 웹사이트 링크

https://www.womencrossdmz.org/letter-sent-to-the-trump-administration-regarding-korea-peace-priorities/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문재인 민주당 정권 실정에 대한 인정과 자성…국민의 신뢰회복 절실
트럼프 행정부에 발신, 코리아평화서한…40개 미국시민단체 연명
“해병대공관 복원해야”…이재명
국민가수 이승환…” 음악인의 올바른 소비”
이재명 민주당 정권 출범에 바란다
트럼프…케네디 대통령과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암살사건 기밀해제 행정명령
대법원 법원행정처, 서울서부지법 난동사태 강한 유감
계엄군, CCTV 안전센터망 계속 주시 제2 비상계엄 준비 정황